본문 바로가기
세계/뉴스 깊이보기

[뉴스 깊이보기] 이란 견제 다급해진 걸프, ‘키플레이어’ 된 이라크 사드르

by bomida 2017. 8. 17.

이라크의 강경 시아파 성직자인 무크타다 알 사드르(왼쪽)가 지난 7월30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만나고 있다. 이날 만남은 무함마드 왕세자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무크타다 알 사드르 공식홈페이지(jawabna.com)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라크와 맞닿은 북부 국경의 문을 열기로 했다. 1990년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관계가 단절된 지 27년 만이다. 사우디는 2년 전 바그다드에 주이라크 대사관을 재개설한 이후 올들어 본격적으로 외교라인을 다시 가동한 데 이어 이라크에 대한 대규모 투자도 계획 중이다.


 시아파가 주류인 이라크와 수니파 대국 사우디가 손을 잡는 낯선 행보가 잇따르면서 이라크의 강경 시아파 성직자인 무크타다 알 사드르(44)가 주목받고 있다. 그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초청으로 사우디를 방문한 데 이어 지난 13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도 초청 방문했다. 양국의 이례적인 초대에 대해 블룸버그는 “중동 내 이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수니 걸프국가들의 움직임에 사드르가 주요 인물(key player)이 됐다”고 보도했다.


 바그다드와 이라크 남부 빈민층 지지를 받고 있는 사드르는 이라크 내에선 드문 반(反)이란 성향 인사다. 후세인 정권 당시 반정부 투쟁을 이끌어 국민들의 추앙을 받던 시아파 종교지도자 아야톨라 무하마드 사데크 알 사드르의 셋째 아들이다. 아들 사드르는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당시 자신의 민병대를 이끌고 시아파 성지인 나자프를 장악한 뒤 미군에 맞서면서 대표적인 반미 민족주의자로 떠올랐다. 특히 이슬람국가(IS)가 지난달 모술에서 3년 만에 격퇴된 이후엔 정부에 민병대 조직의 해체도 요구하고 있다. IS를 몰아내는 데 큰 공을 세운 민병대는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알모니터는 “이란이 이라크에 다시 일어난 시아파 민족주의 붐과 공존하는 법을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이라크의 강경 시아파 성직자인 무크타다 알 사드르(중앙 왼쪽)가 지난 13일(현지시간)아부다비에서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왕세자(중앙 오른쪽)와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AP연합뉴스


 사드르의 이 같은 성향은 이란의 견제세력을 키워야 하는 사우디와 UAE 등과 이해가 맞아떨어진다. 이란과 경제·정치적 친밀도를 높였다는 이유로 카타르와 단교까지 선언하며 압박에 나섰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황에서 걸프의 북쪽 이라크가 합세해 준다면 새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이집트와 몰디브 등 수니파 무슬림국가에 영향력을 키울 때처럼 자금력을 앞세울 것으로 보인다. 사드르는 무함마드 왕세자와의 회동 직후 “사우디가 이라크 정부에 1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이라크 남부 지역에의 투자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라크의 이런 움직임이 이란에 미치는 타격은 크다. 이란은 IS 사태를 계기로 물밑에서 이라크에 대한 지원을 늘렸고 지난달 양국의 군사협력 강화 합의를 이끌어냈다. 1980년 이란-이라크 8년 전쟁 이후 29년 만에 군사동맹을 맺은 것이다. 이는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에 걸친 시아파 ‘초승달 벨트’를 완성해 지중해까지 영향권을 구축하려는 이란엔 큰 진전이었다. 이란이 1982년 레바논에 헤즈볼라를 배후에서 지원해 안착시킨 이후 최고의 외교정책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사우디아라비아가 1990년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관계가 단절된 지 27년 만에 이라크와 맞닿은 북부 아라르 국경의 문을 열기로 했다. 


 이란은 내색하지 않고 있다. 아라즈 마제디 주이라크 이란 대사는 “이라크는 독립된 국가로 사우디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이라크 내부 문제”라며 “이란과 이라크, 이라크 시아파와의 관계는 여전히 굳건하다”고 말했다고 이라키뉴스가 지난 14일 전했다.


 사우디가 이라크를 이란과의 화해 중재자로 내세우려 한다는 보도도 나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카심 모하마드 알아라지 이라크 내무장관은 “무함마드 왕세자가 이란과 관계 개선을 중재해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이란과 사우디의 관계 회복은 전체 지역(중동) 차원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르와 걸프 간 교류와 관련이 있지 않겠냐는 추측도 나오지만 카타르 단교 등 반이란 전선을 형성하는 데 열을 올리는 사우디가 아직은 친이란 성향이 더 강한 이라크를 중재자로 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해석이 많다.


 런던정경대 정치학과 사드 자와드 교수는 “특이한 외교적 움직임”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사우디는 이란이 이라크에 얼마나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고 있다”며 “(차라리) 쿠웨이트나 오만에 중재를 요구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고 알자지라에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