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재미난 세계

일부일처제, 결국은 자식 때문?

by bomida 2013. 7. 30.

인간은 왜 한 사람의 배우자와 짝을 이룰까. 일부일처제는 지구상 생명체가 자신의 종을 유지하는 드문 번식법이다. 4000여종의 포유류 가운데 5%만 한 개체와 짝을 맺고 비조류 온혈 동물 중에는 거의 없다.

일부일처제를 따르는 종은 일부 조류와 늑대·비버·벌거숭이 두더지쥐·미어켓 등 손에 꼽을 수 있다. 바퀴벌레도 하나의 짝만 가진다는 설이 있다.

 

그래서 왜 인류가 이같은 방식을 선택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대한 답을 찾는 상반된 두 가지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에 실린 일부일처제 연구를 보면 수컷은 자신의 새끼가 다른 수컷에게 살해되는 일을 막기 위해 일부일처제를 택했다. 자신의 유전적 혈통을 가진 새끼가 또다시 자손을 번식하려면 안전하게 지켜야 하는 것이다.

다른 수컷의 입장에서 보면 새끼를 죽이고 암컷의 양육기간을 줄여야 이 암컷이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새끼를 갖을 수 있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이 연구를 주도한 런던대 인류학과 크리스토퍼 오피 교수는 “일부일처제는 체계적인 경험을 거쳐 진화한, 결국 유아살해를 막기 위한 제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날 미 사이언스지에 실린 연구는 이를 반박한다.

영국 캐임브리지대 디터 루카스 교수와 팀 클루톤 브록 교수는 2500종 이상의 포유류 연구에서 유아살해와 일부일처제간 상관관계를 차지 못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일부일처제가 ‘부동산’과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 위치와 공급의 문제라는 것이다. 루카스 교수는 “일부일처제는 암컷이 드문드문 떨어져 살고 있는 습성을 가진 종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럴 경우 수컷은 한 번에 한 명 이상과 관계를 맺기가 힘들다. 너무 거리가 멀어서 경쟁 수컷을 막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연구에 따르면 일부일처제를 지키는 포유류의 암컷은 혼자 생활하는 경향이 있고, 다른 암컷에 관용도가 떨어진다. 먹이에 대한 욕구가 커서 식량에 접근하는 다른 경쟁자를 쫓아내는 성향도 강하다.

이유는 다르지만 두 연구는 모두 ‘일부일처제가 진화하면서 수컷이 암컷의 육아를 돕게 됐다’는 다른 연구와는 차이를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인간이 왜 일부일처제를 따르게 됐냐는 질문에는 아카데미회보의 연구의 결과가 더 추론하기 쉽다고 타임스가 전했다. 다른 동물보다 큰 뇌를 가진 인간은 아이의 양육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위험에 노출되는 시간도 길다는 의미다. 따라서 더 긴시간 남성이 여성 곁을 지켜야할 이유가 생긴 것이다.

남성이 한 여성만을 선택하는데 결국 아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