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이슈/서울이야기

서울대공원 노후시설 개선 10년째 ‘표류’

by bomida 2014. 8. 11.

ㆍ서울시, 법적 분쟁 일단락돼 새 운영자 물색 나서

ㆍ1000억원 이상 재원 조달 필요… 정상화는 미지수

서울랜드를 포함한 서울대공원 노후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대안책이 10년 넘게 겉돌고 있다. 서울시가 뒤늦게 서울랜드의 새 운영자 물색에 나섰고, 공원 재조성 방안에 대한 용역도 진행 중이지만 신규 투자 등을 통한 정상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서울시는 지난 1일 서울랜드 부지 29만5063㎡와 일부 건물을 운영할 신규 사업자 공고를 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고를 계기로 놀이동산 조성계획 때부터 지금까지 맡아온 (주)서울랜드 대신 새로운 사업자가 선정될지 주목된다. 서울시가 공고를 내게 된 계기는 법적 분쟁이 끝났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1984년 민간사업자가 20년간은 무상, 이후 10년은 유상으로 운영한다고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이던 2004년, 무상기간이 끝나자 시는 디즈니랜드를 유치하겠다며 추가 사용을 거부했다. 이때부터 10년간 양측 간 법적 공방이 이어졌고 지난해 4월, 대법원이 최종 계약은 2014년 만료된다고 판결해 운영 주체를 바꿀 수 있게 됐다.

반면 (주)서울랜드는 2005년 이후 시가 1년씩 재계약을 해주는 바람에 정상적인 투자, 운영이 불가능했고 수익도 내지 못했다며 새 사업자 공고에 반발하고 있다.

이랜드 등 대기업이 서울랜드를 맡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지만 이번 계약도 2017년 5월까지 한시적 운영이라 정상화는 요원하다는 시각이 있다.

서울랜드 내 빅회전목마 모습. 서울랜드 홈페이지

일부 상점과 매표소, 무대는 기존 사업자와의 계약 기간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도 문제다. 두 주체가 공간을 나눠 맡기 때문에 시설을 전면 손질하기도 어려운 셈이다. 새로운 민간사업자가 들어와도 3년 내 발을 빼야 할 수 있기 때문에 당장 신규 투자를 할 가능성은 적은 상황이다. 서울시 푸른도시국 관계자도 “서울랜드 신규 사업자 선정은 낡은 시설물들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존 시설물에 대한 모든 계약이 종료되는 2017년 이후에나 서울랜드 등 대공원 전체 재조성 밑그림을 다시 그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오세훈 전 시장 시절인 2009년 말 국제현상공모를 통해 공원에 테마별 동물원을 만드는 등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주변 차량 동선체계까지 다시 짜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재원 조달에 현실성이 없어 백지화됐다.

서울시는 생태공원이나 테마파크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서울연구원에 대공원 재조성 연구를 맡겨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돈이다.

전면 재조성 대신 순차적 개선을 한다고 해도 1000억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 호랑이 탈출이라는 초유의 사건이 터진 후에야 시설 보수 등 명목으로 올해 예산이 100억원 정도 증액된 것이 전부다. 대공원 한 해 예산은 265억원(2013년 기준) 수준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다음달 서울연구원 용역 결과가 나와야 방향을 정하겠지만 이 역시 비전 선포 수준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