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중동과 아프리카

레바논 총리 사임과 예멘 반군의 사우디 공습···‘포스트 IS’ 요동치는 중동판

by bomida 2017. 11. 5.

이란 수도 테헤란의 옛 주이란 미국 대사관 앞에서 4일(현지시간) 1979년 일어난 ‘미대사관 인질 사태’ 기념일을 맞아 어린이들이 이란 국기를 들고 서 있다. 이란 정부가 사태  38주년 행사에서 처음 공개한 중거리 지대지미사일 ‘세질’이 아이들 뒤쪽으로 서 있다. 이날 시내에 모인 시민들은 반미 시위를 벌였다. A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를 향해 4일 밤(현지시간) 예멘에서 탄도미사일이 발사됐다. 사우디군이 킹칼리드 공항 상공에서 격추해 사상자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예멘 후티반군이 쏜 이 미사일이 도시에 떨어졌다면 양국이 전면전까지 벌일 수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었다.


 앞서 이날 사우디를 방문 중이던 사드 알 하리리 레바논 총리(47)는 전격적으로 사임을 발표했다. 중동 순방길에 올랐던 하리리가 이란과 헤즈볼라의 압력을 비판하며 “암살의 위협”을 이유로 이란의 적대국인 사우디에서 갑작스럽게 사퇴 결정을 밝히면서 레바논은 물론 중동 전체가 충격에 빠졌다.


 하루만에 벌어진 두 가지 사건은 이슬람국가(IS) 붕괴 이후 가속화된 역학 변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포스트 IS’ 정국에서 영향력이 커진 이란과 이를 견제하려는 사우디가 맞부딪친 중동 지각판이 요동치고 있다.


예멘과 레바논, 사우디와 이란의 대리전


 리야드를 겨냥한 후티 반군의 미사일은 사우디가 예멘 정부를 무너뜨린 후티와의 전쟁을 선포한지 2년여 만에 수도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겨냥한 공격이었다. 사우디연합군은 즉시 예멘의 수도 사나에 대한 보복공격을 벌였다. 사나에 대한 1년여만의 군사작전이자 이 도시에서 벌어진 첫 야간 공습이었다. 사우디연합군은 성명을 통해 “후티의 적대적이며 무차별한 행위는 이 지역의 테러지원국 중 하나가 후티를 지원한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밝혔다. 직접 언급은 하지 않았으나 후티를 지원하고 있는 이란을 강력하게 비판한 것이다.


 특히 후티의 공습은 하리리 총리가 사임을 발표한 직후 이뤄졌다. 사우디 국영 아랍뉴스는 정치분석가 함단 알셰리 박사의 말을 인용해 “헤즈볼라·이란의 협박에 저항해 하리리가 사퇴한 날 공격이 이뤄진 것은 이란의 불만의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란·헤즈볼라는 위험하고 더러운 게임으로 중동의 안전을 훼손하고 있다”며 이는 “사우디의 결의만 더 강화시킬 뿐”이라고 덧붙였다.


 레바논 정치권도 예측하지 못했던 하리리의 결정에 대해 베이루트아메리칸대 힐랄 카샨 정치학 교수는 “사우디가 헤즈볼라와 전면전을 시작했다”고 현지 데일리스타에 말했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헤즈볼라와 레바논 정부의 연결을 끊기 위한 첫발이며, 헤즈볼라에 대한 대항을 정당화하려는 움직임이라는 것이다.


 헤즈볼라는 1980년대 이스라엘이 레바논 남부를 점령하자 이에 저항하기 위해 꾸려진 시아파 무장정파다. 대(對)이스라엘 전투만 벌여오다 같은 시아파인 이란을 지원을 받아 세를 키웠고, 2011년 시리아 내전 이후 IS 격퇴전까지 개입할 정도로 군사 활동의 범위를 넓혔다. 특히 시리아 개입뿐 아니라 헤즈볼라가 지난해 레바논 북부 베카 계곡에서 누스라 전선을 공격하고 레바논 정부의 주요 보직까지 통제할 수 있었던 것은 하라리의 묵인 없이는 불가능했다.


헤즈볼라 견제 나선 하리리, 동거 깨진 레바논은 혼란 속으로


 레바논은 하리리로 대표하는 이슬람 수니파, 헤즈볼라의 시아파, 미셸 아운 대통령의 마룬파 등 기독교도가 인구의 3분의 1씩 차지한다. 총리와 대통령, 의회로 분산된 권력을 각 종파가 분점하며 아슬아슬한 동거를 유지하고 있다. 하리리가 1년 전 총리직에 복귀한 것도 정치집단 간 타협의 결과였다.


 하리리의 사임 결정은 시리아 내전과 IS 격퇴전을 거치며 힘의 구도가 사우디가 용납할 수 없는 수준으로 헤즈볼라와 이란으로 기울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리리가 사퇴하며 “이란이 헤즈볼라를 통해 국가 속 또다른 국가(a state within a state)를 세웠다”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드 알 하리리 레바논 총리(왼쪽)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무함마드 사우디 왕세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4일 또 한번 사우디를 방문한 하리리 총리는 “암살의 위협”을 들어 전격 사임을 발표했다.AP연합뉴스


 그러나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외국에서 사퇴한 하리리에 대해 “연민과 궁금증을 유발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란에 대한 비판은 “비현실적이고 근거가 없으며 레바논과 중동의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리리는 전날까지도 수도 베이루트에서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의 자문관 알리 아크바르 벨라야티를 면담하기도 했다.


 내년 봄 총선을 앞둔 레바논은 의회 공백에 이어 무정부 상태까지 겹치면서 정치적 혼란이 심화될 전망이다. 2005년 아버지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가 암살됐을 때 벌어졌던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 당시 암살 배후로 지목된 시아파 헤즈볼라와 미국 지원을 받는 기독교계 마론파, 수니파간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2008년 헤즈볼라가 수도 베이루트를 점령해 내전 위기까지 치달았던 적이 있다. 파리11대학의 카타르 아부 디아브 중동정치학 교수는 “중동 내 긴장 악화, 이란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전략으로 그동안 (헤즈볼라의 움직임을) 묵인해왔던 하리리가 자신의 존재가 헤즈볼라를 정치적으로 은폐하는 데 이용되길 원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프랑스24에 말했다.


이란의 시아파 벨트 구상은 완성될까


 핵합의를 깨려는 미국과 ‘반(反)이란’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사우디의 강력한 견제에 맞선 이란도 날을 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헤즈볼라를 앞세운 ‘레바논 내 지분’은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다. 반이란에 대항해 중동 내 힘의 균형을 위해선 이라크와 시리아, 레바논을 지나 지중해로 이어지는 ‘시아파 벨트’를 완성하는 것이 관건이 됐다. 수니파 하리리의 사임은 이란의 이 같은 구상이 중동 국가들에 미치는 위험성을 알리는 메시지이기도 한 셈이다.


 이란은 이날 하리리 총리의 사퇴 이유가 “시온주의자(이스라엘), 사우디, 미국이 상습적으로 제기하는 근거와 실체가 없는 의혹“이라고 비판한 데 이어 테헤란의 옛 주이란 미국대사관 앞에서 중거리 지대지미사일 ‘세질’을 처음 공개했다.


 사거리가 2000㎞에 이르는 이 미사일을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발생한 상징적 반미 사건인 ‘미대사관 인질 사태’ 38주년에 맞춰 선보인 것이다. 이날 테헤란에서는 “미국을 타도하자” 등의 구호가 울려퍼지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과 이스라엘 국기가 불태워졌다고 현지 테헤란타임스 등이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