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이슈/서울이야기

한강에 4000억 들여 수상부두·강변카페 등 만든다

by bomida 2015. 8. 25.



 2014년 9월 1일 최경환 부총리와 박원순 서울시장 단독 회동을 했습니다. 한강 주변지역 관광자원화를 위한 마스터플랜(한강종합개발계획)을 위한 TF팀을 만들기 위한 사전 작업이었지요.


 하지만 서울시는 이미 '한강은 자연성 회복을 중심으로 한다'는 정책 기조를 세워뒀습니다. 2년간 시민, 전문가단의 연구 끝에 나온 방안입니다. 런던, 파리같은 로맨틱한 강변이 됐으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도로가 지나면서 육지와 단절된 한강은 이런 구상이 쉽지 않죠. 그래서 한강르네상스로 만든 세빛섬 등이 그냥 한참을 둥둥 떠있기만...

 암튼 개발 논리가 맞지 않은 한강을 그럼 어떻게 다시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이냐. 당시 논의와 연구를 통해 있는 그대로 물길을 살리고, 접근성은 높인 자연의 공간으로 만드는게 맞다고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그런데 왜 다시 마스터플랜이 필요했을까요. 정부는 일자리를 만들 관광활성화가 필요했고 서울시는 돈이 필요했습니다. 시는 한강 관리에 연간 1600억원을 쓰는데 국비 지원은 고작 10억원이죠. 다른 시도보다 재정자립도가 높은 서울은 관리비를 얼마 못준다고 하네요. 시에서는 기준대로면 서울도 80억원까지 받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어쨌든 1년간 논의 끝에 2015년 8월 협상안이 나왔습니다. 결국 여의도 한강구간에 시설물이 생기네요. 그나마 서울시 한강시민위원회가 열심히 막아줘서 피어데크 빼고 큰 대형 시설은 없던 일이 됐습니다. 시민위는 한강에 난립한 계류장, 상업시설을 여의도 구간에 모을 수 있으니 큰 틀의 합의가 의미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여의도가 잘되면 다른 곳들도 같은 방식으로 공동 구상을 한다고 하는데, 일단 TF가 구성돼 논의에 들어가면 뭐든 만들기로 합의를 해야 마무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강위 목소리가 앞으로도 힘을 받을 수 있을지 걱정도 되네요.


 정부와 서울시는 서로 얻고자 한 것은 얻은 듯합니다. 기사에 최 부총리와 박 시장의 멘트에서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ㆍ정부·서울시, ‘자연성 회복·관광자원화’ 방안 발표
ㆍ인공 시설물 확대 “개발 후유증” 우려 목소리도

서울 여의도 한강 위에 세빛섬과 같이 물에 떠 있는 수상부두가 생기고, 윤중로 강변을 따라서는 카페와 상점들도 들어선다. 이를 위해 4000억원 가까운 자금이 투입된다. 관광명소화를 위한 사업이지만 한강에 다시 인위적 시설 개발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와 기획재정부 등은 24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강협력회의를 열어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9월 정부가 한강을 종합 개발하겠다고 밝힌 후 정부·서울시·연구원 등이 팀을 꾸려 1년간 구상한 결과다.


41.5㎞ 길이의 한강 서울구간 중 여의도에는 ‘여의마루(가칭)’를, 그리고 이촌 지역을 집중 개발하는 게 골자다. 강가에 섬처럼 띄우는 부두형 수상데크(피어데크)가 들어서는데 여기에 종합선착장과 요트계류장이 조성된다. 선착장에는 700톤급 선박까지 접안할 수 있다. 땅과 강 모두 달리는 수륙양용차도 도입돼 홍대·합정·여의도를 오간다. 고속페리 정거장도 생긴다. 피어데크에서 여의나루역까지는 걷는 길을 내고, 한강공원을 일대를 다니는 전기관람차도 도입한다. 지하철역 인근 윤중로변에는 컨테이너를 활용한 상업시설(여의테라스)이 들어오고, 윤중로변에 상업시설(여의테라스)과 전시장이 꾸며진다. 

이밖에 여의샛강과 샛강 합류부를 생태관광지로 바꾸고, 이촌지역 인공호안은 철거해 자연하안으로 재정비한 뒤 생태·논습지와 버드나무숲을 만들기로 했다.

4년간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이번 계획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재원 약 4000억원 중 여의테라스나 고속페리, 피어데크 등은 민자 1462억원을 끌어들여 충당하고, 나머지 2519억원은 시와 정부가 절반씩 부담한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2019년까지 4000여개 일자리가 직접적으로 창출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서비스 수요를 더 가져가려는 국가간 보이지 않는 경쟁이 치열하다”며 “‘물들어 올 때 배 띄우라’는 말처럼 한류의 기회가 왔을 때 잡지 못하면 영영 놓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제2의 한강의 기적’은 먼저 자연성을 회복하고 관광자원화 되는 것”이라며 “시와 정부가 예산 분담을 합의해 유지관리비는 정부가 지원하는 대신 시는 한강 관리를 노하후를 발휘해 계획을 실행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서울시가 이미 한강르네상스 정책을 통해 세빛섬과 관광선 등을 만들었지만 접근성 확보 등에 실패하면서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도 방치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박 시장은 취임 이후 시민·전문가 30명을 모아 2년간 연구를 진행한 끝에 물길 회복 등에 초점을 맞춘다는 ‘2030 한강 자연성 기본계획’을 내놨다. 그동안의 개발로 한강 생태계가 무너졌다는 반성에서 나온 것이다.


정부가 지난해 6월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경제활성화 취지로 한강 및 주변지역의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히자 “또 한번 개발논리가 한강을 휩쓸 수 있다”며 경계의 목소리가 나왔던 것도 같은 이유다. 번 논의에서도 한강변에 수상 호텔이나 대관람차 등을 세우는 방안이 나왔으나 서울시 한강시민위원회가 “자연성을 강조한 정책이 변질될 수 있다”며 반대해 무산됐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여의도는 유일하게 올림픽도로가 지나지 않아 한강 접근이 가장 쉽다. 또 63빌딩에 면세점 입점이 확정된데다 노량진 복합관광리조트도 승인이 나면 관광객 유입요소가 크다”며 “넓은 한강에 시설을 분산하면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여의도 집중하는 방식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향후 영동·잠실·뚝섬 등 다른 한강 지역에도 이 같은 공동 관광자원화 방식을 검토할 방침이다. 논의가 진행될 때마다 시설물 설치는 늘어날 수밖에 없어 서울시의 한강 기본계획 원칙이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김정욱 한강시민위 위원장은 “자연성 회복은 서울의 모든 한강에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