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1일 최경환 부총리와 박원순 서울시장 단독 회동을 했습니다. 한강 주변지역 관광자원화를 위한 마스터플랜(한강종합개발계획)을 위한 TF팀을 만들기 위한 사전 작업이었지요.
하지만 서울시는 이미 '한강은 자연성 회복을 중심으로 한다'는 정책 기조를 세워뒀습니다. 2년간 시민, 전문가단의 연구 끝에 나온 방안입니다. 런던, 파리같은 로맨틱한 강변이 됐으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도로가 지나면서 육지와 단절된 한강은 이런 구상이 쉽지 않죠. 그래서 한강르네상스로 만든 세빛섬 등이 그냥 한참을 둥둥 떠있기만...
암튼 개발 논리가 맞지 않은 한강을 그럼 어떻게 다시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이냐. 당시 논의와 연구를 통해 있는 그대로 물길을 살리고, 접근성은 높인 자연의 공간으로 만드는게 맞다고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그런데 왜 다시 마스터플랜이 필요했을까요. 정부는 일자리를 만들 관광활성화가 필요했고 서울시는 돈이 필요했습니다. 시는 한강 관리에 연간 1600억원을 쓰는데 국비 지원은 고작 10억원이죠. 다른 시도보다 재정자립도가 높은 서울은 관리비를 얼마 못준다고 하네요. 시에서는 기준대로면 서울도 80억원까지 받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어쨌든 1년간 논의 끝에 2015년 8월 협상안이 나왔습니다. 결국 여의도 한강구간에 시설물이 생기네요. 그나마 서울시 한강시민위원회가 열심히 막아줘서 피어데크 빼고 큰 대형 시설은 없던 일이 됐습니다. 시민위는 한강에 난립한 계류장, 상업시설을 여의도 구간에 모을 수 있으니 큰 틀의 합의가 의미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여의도가 잘되면 다른 곳들도 같은 방식으로 공동 구상을 한다고 하는데, 일단 TF가 구성돼 논의에 들어가면 뭐든 만들기로 합의를 해야 마무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강위 목소리가 앞으로도 힘을 받을 수 있을지 걱정도 되네요.
정부와 서울시는 서로 얻고자 한 것은 얻은 듯합니다. 기사에 최 부총리와 박 시장의 멘트에서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ㆍ인공 시설물 확대 “개발 후유증” 우려 목소리도
서울 여의도 한강 위에 세빛섬과 같이 물에 떠 있는 수상부두가 생기고, 윤중로 강변을 따라서는 카페와 상점들도 들어선다. 이를 위해 4000억원 가까운 자금이 투입된다. 관광명소화를 위한 사업이지만 한강에 다시 인위적 시설 개발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도시&이슈 > 서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시급 7000원대…서울 내년 자치구 최고 7585원 (0) | 2015.09.20 |
---|---|
서울시, 상가 세입자 보호조례…월세 과도하게 안 올리면 세금 감면·리모델링 비용 등 지원 (0) | 2015.09.02 |
그들이 띄우면 뜬다, 죽은 상권 살리는 ‘청년장사꾼’ (0) | 2015.08.22 |
을사늑약 체결 앞잡이 ‘하야시’ 동상 비석, 거꾸로 박아 복원 (0) | 2015.08.12 |
성미산마을 카페, 8년 만에 문닫나 (0) | 201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