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이슈/서울이야기

119 장난 신고, 줄고는 있지만…

by bomida 2014. 10. 23.



119 신고 형태도 변하는 것일까요. 


서울시 소난재난본부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 시민들의 119 신고를 분석했는데요. 화재 신고는 줄고 벌집을 없애달라, 동물을 구해달라는 신고는 늘었다고 합니다.


10년간 서울의 119 신고는 총 26915032건이 들어왔습니다. 건강이나 안전과 관련해서 간단하게 상담을 받은 경우가 1184308(44%)으로 가장 많았네요.


그럼 두 번째는 무엇일까요. 

황당하게도 휴대전화 등 조작실수로 잘못 걸리거나 119로 전화를 내놓고 아무 대답도 하지 않는 경우가 844만8044건, 31.4%나 된다고 하네요.


구급이 필요한 경우는 421만3020건(15.7%)이었고, 구급상황관리센터로 연결해 응급처치 지도받거나 쉬는 날 문을 연 병원, 약국 안내를 받은 신고도 62만756건(2.3%) 들어왔습니다. 경찰 등 다른 기관으로 연계된 경우가 58만9594건(2.2%)이네요.


119 신고 중 가장 위급한 구조 신고는 43만5590건(1.6%), 화재는 33만443건(1.2%)으로 전체 비중에서는 크지 않았네요.



서울 양재역에서 21일 실시한 화재 진압 훈련에 참가한 소방대원들이 시민들을 대피시키고 있다. |김영민 기자 


2004년과 2013년을 비교하면 변화가 있습니다.

화재 신고는 무려 47.4%가 줄었습니다. 구조와 구급 신고는  55.9%, 26.2%씩 늘었네요. 생활안전과 관련한 신고를 통계하기 시작한 2008년과 지난해를 비교해보면 문이 잠겼으니 열어달라는 신고는 1.9배, 유기동물을 구조해 달라는 등의 동물 관련 신고는 4.2배, 벌집이 발견됐으니 제거해 달라는 요청도 8.6배나 늘었습니다. 


1년간 들어오는 119 신고는 얼만 될까요.

서울시 소난재난본부에는 2013년 247만459건의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12.8초마다 한 건이 들어온 셈이죠.


지난해 가장 많은 119 신고는 전화를 잘못누르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35.6%·87만9775건)네요. 장난전화는 2012년 이후 크게 줄어 지난해 183건이 들어왔습니다.


119에서 왜 상담을 받고 약국 안내를 받는지 의아해 할 수도 있는데요.

서울의 119는 2002년부터 소방서별로 받던 신고 접수와 출동지령을 ‘119서울종합방재센터’ 한 곳으로 합쳐 통합 운영 중입니다. 화재나 구조 등 위급 상황 신고 외에도 응급처치를 지도해 주거나 당번 병원, 약국 안내도 하고 있죠. 2012년부터 1339번에서 처리하던 업무가 합쳐진 것이라네요. 

만성 질환이나 건강검진 결과를 상담해주기도 하고요. 외국인이 119의 도움을 요청할 때 통역을 담당하는 건강콜센터도 지난 2013년부터 서울종합방재센터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지난해 건강콜센터에 1만229건의 질병상담이 들어왔는데 이 중 2429건이 통역이 필요한 119신고 였다고 하네요.
영어가 1643건(67.6%)으로 최다, 이어서 중국어 429건(17.7%)과 일어 278건(11.4%)순입니다.

119로 들어오는 신고 중에는 어이없는 사례들도 많은데요.
상황실에서 꼽은 황당 사례들 좀 보시죠.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요원들이 뽑은 가장 황당한 신고 사례 

    

 "아이가 숨이 넘어간다"는 다급한 신고에 구급차를 출동시키고 의료지도하다보니 '아이
는 키우고 있는 강아지였음.

 "집에 쥐, 벌, 벌레가 있다. 잡아가 달라."

 "변기가 막혔으니 뚫어 달라."

 "건물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있는데 화장지가 없다. 가져다달라."

 "자전거 타다가 체인이 빠졌다"며 집에 데려다 달라고 신고.

 "외롭다. 말벗이 되달라."

 "택시비가 없다"며 구급차로 집까지 태워달라고 요청.

 "식당에서 신발을 분실했다. 찾아 달라."

 "방에서 대변을 봤는데 거동을 못한다. 와서 치워달라."

 "물건을 비싸게 사서 화가 나는데, 아는 번호는 119밖에 없다"며 전화.

 "지금 몇 시입니까?"라며 시간을 묻기 위해 119신고.